DLNA를 통해 WAV를 재생할 때 '팝핑' 소리가 납니다.

DENON AVR-3808CI와 같은 일부 AV 리시버는 UPnP/DLNA를 통해 WAV 파일을 재생할 때 트랙 끝 부분에서 소음을 냅니다. 이는 WAV 파일 내의 메타데이터(특히 LISTINFO 청크)를 오디오 데이터로 해석하는 리시버에서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은 WAV 대신 FLAC(또 다른 무손실 코덱)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FLAC 파일과 호환성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파일 내에 더 많은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오디오 충실도를 떨어뜨리지 않고도 파일 크기가 더 작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구 > 옵션 > 미디어 공유 의 메인 메뉴에서 미디어 서버 설정에서 자동 변환(MediaMonkey Gold 기능)을 사용해 WAV를 DLNA/UPnP 클라이언트에서 지원하는 다른 무손실 형식으로 자동 변환 할 수 있습니다.

적용 대상: ,

Translated automatically (see original)

‘Popping’ Sound when Playing WAV over DLNA

Some AV receivers like DENON AVR-3808CI will make a noise towards the end of a track when playing a WAV file over UPnP/DLNA. This occurs in receivers that interpret metadata (specifically the LISTINFO chunk) within a WAV file as audio data.

The workaround is to use FLAC (another lossless codec) instead of WAV, the benefits being that there are rarely compatibility issues with FLAC files, more metadata can be stored within the file, and the file size is smaller, without compromising audio fidelity.

You can try Auto-Conversion (MediaMonkey Gold feature) in the Media Server settings under Tools > Options > Media Sharing from the Main Menu to Auto-Convert WAV to another lossless format supported by your DLNA/UPnP client.

Applies to: ,

Hide original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